5 min read

TaaS라고 들어보셨나요?

TaaS라고 들어보셨나요?

"MIRA는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나요?" 라고 물으시면

"MIRA는 BACK-OFFICE를 'TaaS(Team as a Service)' 형태로 제공합니다."라고 대답합니다.

처음에는 SaaS만으로는 고객님들의 시간을 덜어드릴 수 없다는 것을 차별화하기 위해 사용했던 표현이었는데요, 시간이 지날 수록 해외에서는 전문가를 영입할 수 없는 상황에 대안으로 활용하는 서비스의 모습으로 주로 기술분야에서 많이 활용되는 것 같습니다.

💡
TaaS (Team as a Service)
기업이 특정 전문적인 팀을 외부를 통해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 모델

MIRA의 TaaS는 SaaS와 뭐가 다른가요?

SaaS는 직접 프로그램을 통해 업무를 하셔야한다면 MIRA의 TaaS방식의 서비스는 프로그램을 통해 업무요청만 하시고 업무현황 모니터링 및 현황 데이터 조회만 하시면 됩니다.

GP용 조합 관리 운영 시스템 : gp.mirafaan.com

LP용 조합 자산 관리 시스템 : lp.mirafaan.com

그럼 또 외주랑은 뭐가 다른가요?

정해진 업무를 기한 내에 처리한다면 '외주',

업무를 기한내에 처리하기에 앞서 이슈를 듣고 가장 적합한 솔루션을 찾아 업무를 처리하는 것을 'TaaS'라고 생각합니다.

즉, 시키는 일만 하지 않는다는 거지요.

(물론 시키는 일도 잘하지만 그 방법이 최선인지 다시 한번 더 생각합니다.)

MIRA가 생각하는 TaaS란?

문제를 해결하거나 업무를 처리할 때를 잘 들여다보면 그 시작부터 마무리까지 6단계로 나누어 처리합니다. 각 단계는 아래와 같은데요 MIRA는 여기서 우리의 서비스 정체성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예를들어 구주 인수 목적만을 위해 개인투자조합을 결성하심에 따라 구주 인수를 못하셨다거나 소득공제를 위해 개인투자조합을 통해 투자를 하셨으나 '소득공제' 혜택을 못 받으시다거나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면서 MIRA는 GP님들께서 시키는대로'만' 일하지 않겠노라 다짐했습니다 :D

그러면서 GP님들이 필요로하시는 요구사항을 잘 수집하는데서 부터 MIRA의 업무는 시작됩니다. 그리고 저희는 거기서 아웃소싱과의 차별화를 가져가고자 TaaS라는 이름으로 서비스를 고도화해가고 있습니다.

해결 방안 도출부터 도와드릴 수 있는 팀이 되고자 항상 먼저 질문합니다.

"GP님, 어떤 투자를 위해 조합을 결성하시나요?"

조합 결성을 요청주셨다고 해서 다짜고짜 조합 결성부터 시작하지 않습니다.

MIRA는 올해(2024년)로 8년차입니다. 보통 비상장 기업에 투자하는 투자조합의 존속기간은 5~7년이지요.

그동안 MIRA에서는 1200개 이상의 개인투자조합, 벤처투자조합, 신기술투자조합의 결성부터 해산, 청산까지 수많은 케이스를 모두 갖고 있습니다. 더불어 업계에서 20년이상 근무하신 분들이 주축이 되어 어떤 이슈에 대해서도 규약 준수 여부와 관리감독기관 가이드라인에 맞춘 업무처리 방침을 제안드립니다.

추후에 문제되지 않도록 내부통제시스템을 갖춘 회사 이상의 조합관리를 하실 수 있는 방법을 안내드리며 선제적으로 업무를 지원합니다.

그게 바로 MIRA가 생각하는 "TaaS" 입니다.

TaaS의 이점은 뭘까요?
  1. 전문성을 바탕으로한 빠른 작업 완료 : 조합관리 업무는 인터넷을 검색한다고 교육을 듣는다고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더라구요, 무엇보다 복잡하고 예외 케이스가 많지만 MIRA의 전문가 POOL을 통해 문제없이 해결합니다.
  2. 채용 부담 완화 : 관리 전문인력 채용은 왜 이렇게 어려운 걸까요? MIRA를 통해 전문성도 함께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내부에서 전문 인력을 고용하는 비용을 절감하고 담당자 퇴사로 인한 히스토리 관리에 대한 부담도 덜어내시길 바랍니다.

여기까지 MIRA가 생각하는 "TaaS"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모쪼록 MIRA의 BACK-OFFICE를 통해 고객님의 시간이 덜어지고 투자만 사업만 하실 수 있는 그날을 꿈꾸며 MIRA는 오늘도 그만 일하러 가보겠습니다.


MIRA PART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