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투자조합 소득공제 Q&A

안녕하세요, MIRA 입니다.
연말정산 진행 중 많은 분들께서 주시는 질문사항을 정리하여 보았습니다.
1. 투자확인서의 투자금액과 소득공제 신청서의 투자금액이 왜 다른가요?
투자확인서의 ‘⑮출자금액(투자금액)’과 소득공제 신청서의 ‘⑨출자금액(투자금액)’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하단의 금액이 상이하기 때문입니다.
양식 | 항목 | 설명 |
---|---|---|
투자확인서 | ⑮출자금액(투자금액) | 실제 조합에 출자한 금액 |
소득공제신청서 | ⑨출자금액(투자금액) | 실제 기업에 투자한 금액 * 출자자(LP)분의 조합 지분 |
국세청 작성가이드에 따르면 소득공제 신청서에는 “기업에 투자한 금액 중 LP(출자자)님의 지분율만큼의 투자금액”을 적게 되어있습니다.
2. 출자한 금액과 실제 투자한 금액에 차이가 난다면 나머지 자금은 어떻게 되는 건가요?
조합에 출자하신 금액은 조합마다 차이가 있으나 아래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기에 실제 출자금과 개별투자금액이 다를 수 있습니다.
1. 투자금
2. 관리보수
3. 기타 조합 운영비용
3. 투자확인서 상의 투자일과 소득공제 신청서 상의 투자일이 다른데 왜 그런걸까요?
투자확인서에 기재된 투자일은 투자기업의 등기부등본에 해당 투자건이 등록된 일자를 의미하며, 소득공제 신청서에 기재된 투자일은 실제 투자금이 투자기업에 납입된 일자입니다. 등기 시점에 따라 두 일자가 조금 다를 수 있으나, 어떤 일자가 입력되더라도 소득공제에 문제는 없습니다.
양식 | 항목 | 설명 |
---|---|---|
투자확인서 | ⑯ 투자일 (과세연도) | 투자기업의 등기부등본에 등록된 일자 |
소득공제 신청서 | ④ 출자일 (투자일) | 실제 투자금이 투자기업에 납입된 일자 |
4. 회사에는 어떤 서류를 제출하면 되나요?
개인투자조합이 벤처기업에 투자 함에 따른 소득공제 신청 서류는 '투자확인서', '소득공제 신청서' 2가지 입니다.
소득공제 신청 서류 2가지를 잊지 마시고 관련 부서에 제출하시어 소득공제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제출서류 | 제출서류 위치 |
---|---|
투자확인서 | 1. lp.mirafaan.com 2. 서류다운로드 방법 확인하기 |
소득공제 신청서 | 메일(첨부파일)로 개별 전송 |
5. 투자확인서에서 제출처 빈칸도 별도로 작성해야하나요?
투자확인서는 다운받으신 그대로 별도의 추가 작성없이 그대로 제출하시면 됩니다!

6. 국세청에서 자동 조회가 안되는데요?
벤처투자 및 조합출자에 따른 내역은 국세청에서 조회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꼭! 안내에 따라 기재하여 주시고 투자확인서 및 소득공제 신청서를 관련부서에 제출하여 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