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min read

[정책발표] 새정부 경제성장전략, 어떤내용을 담고 있을까요?_➀FUND

[정책발표] 새정부 경제성장전략, 어떤내용을 담고 있을까요?_➀FUND

8월 22일에 새 정부가 발표한 경제성장 전략이 기획재정부에서 발표 되었습니다.
AI를 중심으로 하는 기술혁신과 규제 완화 및 중소·벤처기업의 성장 및 투자확충 등을 실시 계획입니다.

100조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를 통해 단기간 내 가시적 성과 창출을 목표로 하는데요, 새 정부 경제전략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까요 ?
(본 원고는 ➀FUND(VC), ➁ START UP으로 나눠 진행됩니다. )


💡핵심요약

새 정부가 발표한 경제성장전략을 한마디로 하면 "진짜성장" 의 패러다임 입니다. 지금까지는 추격경제였는데, 이제 선도경제로 완전히 바뀌어야 한다는 의지가 느껴집니다.

핵심은 크게 4가지입니다.

  • 기술선도 성장 : AI 대전환과 초혁신경제 30대 프로젝트를 바로 하반기부터 시작하여 미래 먹거리를 성장 시킬 계획입니다.
  • 모두의 성장 : 수도권-지역간 균형발전과,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여 모두의 성장을 도모한다고 합니다. 모태펀드는 최대규모의 출자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 공정한 성장 : 대기업이 중소기업 기술 탈취하는 것을 방어하고, 노동시장도 더 공정하게 만들겠다고 합니다.
  • 지속성장 기반 강화 : 부동산 투기보다는 생산적인 곳에 돈이 가도록 금융시스템을 바꾸고, 규제도 확 줄여서 금융쪽에 대한 지원 및 제도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FUND(VC)에서의 주요사항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상세 내용을 알고 싶으시다면 제목을 클릭해주세요😄

F1. 'AI 대전환·초혁신경제 30대' 선도프로젝트 : 25.下부터 최우선 패키지 지원합니다.

  1. AI 대전환 프로젝트
    ➀ 기업(7대 피지컬) :로봇, 자동차, 선박, 가전, 드론, 팩토리, 반도체
    ➁ 공공 : 복지고용, 납세관리, 신약심사
    ➂ 국민 : 인재 양성 + 해외유출 방지 + 해외인재 유치
    ➃ 데이터 : 데이터 개방, 융합・표준화, 인프라 구축
    ⑤ 거버넌스 : 정책협력 강화, 산학연 결집, 글로벌 이니셔티브 확보
  2. 초혁신 15대 프로젝트
    ➀ 첨단소재·부품 : SiC전력반도체, LNG화물창, 초전도체, 그래핀, 특수탄소강
    ➁ 기후·에너지·미래대응 : 태양광·차세대전력망, 해상풍력·HVDC, 그린수소· SMR, 스마트농업, 스마트수산업, 초고해상도위성
    ➂ K-붐업 : 바이오, 컨텐츠, 뷰티, 식품

F2. '국민성장펀드' : 첨단전략산업기금, 민간자금 활용 100조원 이상 규모로 조성 계획입니다.

  • 규모 : 첨단전략산업기금, 민간자금(연기금・민간금융・국민 등) 활용 100조원 이상 규모로 조성하여 성장의 과실을 국민과 공유 합니다.
  • 투자대상 : AI 등 미래전략산업 및 에너지인프라 +관련 기술・벤처기업. 특히, AI 산업은 지원규모를 별도 할당 계획입니다.
  • 지원방식: 중소・벤처기업은 장기 지분투자 중심 지원 +설비투자를 위한 대규모 자금은 초저리대출 등 맞춤형 지원 합니다.

F3. 지역 성장엔진 : 지역별 '5극3특' 성장엔진을 선정 하여 집중지원 합니다.

5극3특 : 5대 광역권, 3대 특별자치도

  • 동남권(부산·울산·경남) : 자동차, 조선, 우주항공, 석유화학, 철강
  • 서남권(전북·광주·전남) : AI‧미래모빌리티, 재생에너지, 농생명‧식품산업
  • 대경권(대구·경북) : 로봇‧자동차부품, 철강, 이차전지, 바이오
  • 중부권(대전·충청) :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바이오, 기초R&D
  • 강원‧제주권 : 관광, 청정 에너지, 바이오

F4. 지역성장펀드 : 지방시대 벤처펀드를 ‘지역성장펀드’로 확대·개편하고, 지역투자 인정비율 특례를 연장합니다.

  • 인정비율 특례를 연장하고 (’25⟶‘30)
  • 지역 투자분의 주목적 투자 인정비율 상향 합니다. (100→120%)

F5. 모태펀드 확대방안 : 공동출자, 우선손실충당 등 통해 혁신투자 리스크 분담 및 역대 최대규모 출자 합니다.

  • AI 초기·스케일업 투자를 대폭 확대(예: 전체 모태펀드 예산 대비 20→30%) 하고, 모태펀드 공동출자, 우선손실충당 등 통해 혁신투자 리스크 분담
  • 모태펀드 역대 최대규모 출자, 존속기한(現 ~’35년) 연장

F6. 민간벤처투자 활용방안 : 퇴직연금,연기금 투자풀 활용 , 개인 공모펀드 기업성장집합투자기구(BDC) 도입, 법인의 벤처투자세액공제 확대 합니다.

  • 퇴직연금 : 퇴직연금의 벤처투자를 허용하되, 위험을 분산할 수 있는 투자 방식 등 가이드라인 마련
    • 예) 모태펀드 우선손실충당, 퇴직연금의 환매가능성 확보를 위한 풋옵션 부여 등 인센티브 또는 기업성장집합투자기구(BDC) 도입예정입니다.
  • 연기금투자풀 : 연기금투자풀 내 벤처투자를 위한 별도의 통합펀드를 신설해 연기금 여유자금의 벤처펀드 출자 확대 유도 계획입니다.
  • 개인 : 벤처‧혁신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공모펀드인 기업성장집합 투자기구(BDC)를 도입해 개인의 투자 접근성 제고합니다.
  • 금융회사 : 자본 규제 합리화 등을 통해 벤처투자 활성화 유도합니다.
    • (은행)글로벌 기준 등을 고려한 은행권 벤처 지분·펀드 투자 확대 유도
    • (증권)초대형 IB에 대한 모험자본 공급 의무화(예:발행어음 등 조달금액의 25% 이상)
    • (보험)적격요건 충족 벤처 투자시 K-ICS 위험계수 비상장주식 대비 완화(예: 49→35%)
  • 법인 : 법인의 벤처투자 세액공제 적용대상 확대
    (현행) 직·간접 출자분, 민간 벤처모펀드 통한 출자분 →
    (개선) 벤처투자조합의 SPC 통한 간접출자분

F7. 벤처투자 회수 활성화 방안 : 세컨더리 펀드 조성확대 , 구주 주목적 투자 특례연장 검토 합니다.

  • 세컨더리펀드 조성을 확대하고 구주 매입시 주목적 투자로 인정 (약정총액의 20% 한도)하는 특례 연장 검토(現 ~’26년)

F8. 기업지배구조 개선방안 : 상법안착(이사 충실의무 확대), 합병분할 등 제도개선, 기관투자자 역할 강화 합니다.

  • 상법 안착: 이사의 충실의무 확대 등 안착을 위해 가이드라인 제정
  • 합병·분할 등 제도개선 : 합병가액 산정 시 주가뿐만 아니라 자산· 수익가치 등 기업의 실질가치를 반영할 수 있도록 개선
    • (현행)최근 주가 산술평균 → (개선)주식가격·자산가치·수익가치 등 고려해 공정가액 산정 ▪물적 분할 후 자회사 상장시 공모신주 일정비율을 모회사 일반 주주에게 우선배정 ▪의무공개매수 제도를 도입해 기업 인수 시 소액주주의 경영권 프리미엄 공유 및 회수기회 보장
  • 기관투자자 역할 강화 : 스튜어드십 코드 적용 대상·범위를 확대 하고, 수탁기관의 이행 여부 점검 및 결과 공시

F9. 증시 수요기반 확충방안 :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고배당기업 분리과세, 퇴직연금 가입자를 확대 합니다.

  •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 외환·자본시장 체질개선과 선진 투자 환경 구축을 통해 현 정부내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추진 ▪관계기관 TF를 통해 MSCI 편입을 위한 로드맵 연내 마련 ( 기재부·금융위·한은·금감원·예탁원·거래소 등 참여 )
  • 배당소득 분리과세 : 고배당기업에 배당소득 분리과세 도입예정입니다.
  • 퇴직연금 확대 : 중소기업퇴직연금기금 가입대상을 100인 이하로 단계적 확대(現 30인 이하,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개정에 따라 단계적 조정)

F10. 자금 선순환 기반 조성 : 기술특례상장 구체화, 성장단계별 건전한 IPO환경 조성, 보호예수조건 특정기관투자자 사전배정 허용 합니다.

  • 기술특례상장의 심사기준을 혁신기술별로 세분화·구체화해 성장유망 기업의 정확한 가치 평가 및 원활한 자금조달 지원
  • 기업의 성장단계별 특성을 감안해 주식시장을 재구조화하고, 기관투자자 의무보유 확대* 등으로 건전한 IPO 환경 조성 *일정기간 보호예수 조건으로 특정 기관투자자에 사전배정 허용(코너스톤 제도 도입 추진)


🤔 MIRA Opinion

  • 특히 주목할 건 100조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를 만들어서 중소・벤처기업은 장기 지분투자 중심 지원 및 설비투자를 위한 대규모 자금은 초저리대출 등 맞춤형 지원을 할 계획이라고 하니 , 벤처투자업계에 상생의 마중물이 되지 않을까 기대가 됩니다.
  • 정부의 공식자료에는 '목차'가 없어서 간단한 요약과 목차를 제작하였으니 하단 참고자료에서 다운받아 주세요.
  • 다음에는 ➁ START UP 편 으로 찾아 뵙겠습니다.

📝 참고 자료

새정부 경제성장전략 요약 및 목차_MIRA_PARTNERS(250829v1)

⬇ 새정부 경제성장전략 요약 및 목차_MIRA_PARTNERS(250829v1).pdf

새정부 경제성장전략 원본_기획재정부(250822)

⬇ 새정부 경제성장전략 원본_기획재정부(250822).pdf